뉴 빙 OR 빙챗
빙 에 앞서 지난 글에서 GPT-4 에 대해 소개했다.
유료 사용자에게만 공개된 GPT-4 를
무료 로 사용해볼 방법 은 없을까?
다행히 존재하는 딱 한가지 수단이 바로 뉴 빙 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3월 14일 공식 블로그 를 통해
뉴 빙 에서의 GPT-4 의 사용을 공식화 했다.
물론 chat GPT 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모델은
아니고 검색 엔진에 맞게 Fine Tune 되어있다.
공식 문서에서도 ‘뉴 빙 ‘과 ‘빙챗 ‘
두가지 이름이 혼용되고 있다.
공식 명칭은 뉴 빙 이 맞으며 빙챗 은
이에 속하는 기능 중 하나로 보면 된다.
뉴 빙 은 신청자에 한해 체험해볼 수 있고
나는 몇분 안되어 등록되었다.
뉴 빙 특징 , 차이점
가장 큰 차이점은 웹 크롤링 여부이다.
빙에 사용된 모델 프로메테우스 는
웹 크롤링이 가능하다.
따라서 GPT 에 비해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되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도 답변할 수 있다.
대신 GPT-4 를 사용하기때문에 GPT-3.5를 사용하는
chatGPT 에 비하면 답변이 다소 느리다.
그리고 크롤링 된 정보는출처를 명확히 링크로 첨부해준다.
사용자는 출처를 보고 정보의 사실, 최신 여부를 판단 가능 하다.
물론, 모든 페이지가 빙 에서 크롤링 되는 것은
아니고 단순 블로그 글도 참조하니 너무 믿지는 말자.
무료인 만큼 채팅횟수 에 제한이 있다.
채팅은 하루당 150개, 세션당 15개 로 제한된다.
어차피 15번 이상 대화가 지속될 일도 거의 없고 뉴 빙 의
특성 상 대화가 길어질수록 이상한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빙챗 은 GPT의 Temperature에 해당하는Tone을
창의적 , 균형 잡힘, 정확함 중에 고를 수 있다.
찾고자하는 정보 앞에 #search 를 앞에 붙이면
검색 모드가 되어 좀 더 정확하고 최신 정보를 제공해준다.
뉴 빙 코파일럿 기능까지?
엣지 사이드바
엣지를 최선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뉴빙 을
사이드바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단순 채팅 기능 뿐만 아니라 두가지 기능이 추가 되었다.
첫번째는 초안 작성 기능이다.

작성할 주제, 톤, 포맷, 길이에 대한 지정이 가능하다.
기본 포맷은 일반 글, 이메일, 블로그, 개괄형 4가지가 제공된다.
영어로 주제를 던져주면 쓸만한 퀄리티의 글이 작성된다.
한글로도 잘 되지만 학습자료가 부족한만큼 퀄은 조금 떨어진다.
두번째 기능은 분석 및 요약이다.
일반 페이지의 경우 해당 사이트나 페이지의
연관페이지, 평가 및 트래픽을 보여준다.
그리고 CNN,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와 같은
영어권 주요 매체들은 요약 기능까지 제공한다.
기사를 클릭해보면 해당 기사에 대한
요약, 연관 Q &A를 표시해준다.
안타깝게도 한글 매체는 요약 기능을 지원하지않았다.
확인해보니 중앙일보, 조선일보 영문 사이트 정도에서
Q &A 기능이 활성화되었다.
이미지 생성 기능
3월 21일 기준 빙 의 이미지 생성 기능 이
대중들에게공개되었다.
뉴빙 신청자의 경우만 사용할 수 있고
이 링크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 때 생성 AI 붐을 일으켰던 DALL E 를
빙 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최상단 이미지가 “Screen Headed Robot, Anime cartoon ”이라는
프롬프트 결과물을 살짝 수정한 것이다.
제공되는 그림은 JPG, 1024 x 1024px로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부스트 코인이 있을 때는 수초 내에 결과물이 나오고
없을때는 최대 45초까지 걸릴 수 있다고 한다.
현재는 사용자가 적어 코인이 없어도
10초이내에 그림이 나온다.
일주일에 10개의부스트코인을 제공하고
검색 등 다양한 행위의 리워드로 추가 코인을 받을 수 있다.
체험자가 늘기전에 체험해보길 추천한다.
오피스와 코파일럿의 결합
위 유튜브 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오피스 365 에
차세대 생성 AI가 적용될것이라 발표 했다.
간단한 명령어 만으로 초안, 템플릿 등의
생성이 가능해 업무 효율을 크게 올려줄 것이다.
어느정도 까지 가능할 지 대중들의 반응이 뜨거운 가운데
현재 20개 고객사에서 베타 테스트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구독자에게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Github처럼 코파일럿 기능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보이나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
관련글